전체 글105 스코틀랜드 위스키의 지역별 특징(하일랜드/아일레이/캠벨타운/스페이사이드/롤런드) 위스키의 원조? 강국 스코틀랜드는 어떤 곳일까요?(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중 누가 원조인지는 아직도 싸우는 중입니다.) 스코틀랜드에는 100여 개가 넘는 증류소가 운영 중이고 싱글몰트 위스키 브랜드만 200개가 넘게 있습니다. 매초 40병의 위스키가 세계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스코틀랜드의 지역적 구분 1980년부터 스코틀랜드 위스키 업계는 소비자들에게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위스키를 산지에 따라 분류하기로 결정했고 와인을 보르도 와인, 부르고뉴 와인으로 구분하는 것처럼 지역별로 구분하기로 했습니다. 위스키의 원료인 보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물, 증류 노하우, 전통 등이 결합되어 지역별 개성과 스타일이 만들어졌습니다. 위스키와 유령 스코틀랜드는 유령이 출몰하는 성이 있는 곳으로 세계적으로.. 2020. 4. 25. 위스키 가격이 비싼이유? 위스키로 제테크가 가능할까?(주류세) 주류세 개편 / 종가세 그리고 종량세란? 올해 이슈 중 하나는 주류세 개편이 있습니다. 종가세 vs 종량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현재 맥주의 경우 종량세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종량세의 경우 술의 양이나 알코올 도수에 따라 세금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캔맥주와 수제 맥주는 싸지고, 수제 맥주 가격은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위스키에 종량세가 적용되면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위스키의 경우 고 알코올, 고가이기 때문에 종량세가 적용될 경우 가격은 하락할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위스키는 종가세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위스키와 세금 한국에서는 위스키에는 부가가치세 외에 개별소비세가 부과됩니다. 이는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세금이 올라가기 때문에 다른 주류에 비해 세금이 높습니다. 2018년 기준 72%의 세율이 .. 2020. 4. 24. 위스키 보관 하는 법 모든 술이 그렇듯이 위스키도 위스키를 보관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이 있습니다. 규칙대로 보관하다면 오랜 시간 최상의 상태에서 위스키를 즐길 수 있습니다. 일단 위스킨는 와인처럼 보관해서는 안됩니다. 와인은 옆으로 눕혀서 최대한 외부 자극 없이 오랫동안 보관하면 아로마가 더욱 풍부해집니다. 또한 일단 와인은 마개를 연 뒤 24시간 이내에 다 마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안 그러면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가 진행되어 맛과 향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스키는 다릅니다. 위스키는 병입이 되는 순간 이미 완제품인 상태로 12년산 위스키는 구매 후 10년이 지나도 12년 산 위스키입니다. 아무리 집에 오래 두어도 맛과 향의 큰 변화는 없습니다. 위스키의 보관온도는? 위스키는 와인처럼 저장고에 별도로 보관하.. 2020. 4. 23. 위스키를 더욱 맛있게 먹는 방법(글라스 선택/물 넣기/시음방법) 이번 포스팅은 위스키를 어떻게 해야 제대로 즐길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위스키를 제대로 즐기는 법은 사실 딱 정해져 있지 않지만 기본 가이드대로 한다면 최소 그 위스키가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1. 글라스(Glass)는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글라스는 위스키를 마시기 위한 도구지만 코로 향을 맡을 때도 사용합니다. 어떤 글라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위스키의 풍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잘 선택해야 합니다. 잔 속에서 향이 잘 퍼지도록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하고, 잔 입구는 좁아야 향이 한 번에 날아가지 않고 코로 복합적인 향을 잘 느낄 수 있습니다. 텀블러(Tumbler)는 영화나 TV에 자주 등장하는 잔이지만 향을 음미하기에는 최적의 잔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텀블러는 얼.. 2020. 4. 22. 바리스타 자격증 필수인가?종류 및 비용(한국커피협회/SCA/IBS/GCS) 국내에서 바리스타(Barista)라고 하면 전문적으로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바리스타의 기본 업무는 잘 볶아진 원두를 업체로부터 구입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고, 좀 더 전문적인 바리스타의 경우 생두를 고르는 것부터 로스팅, 추출까지 전 업무를 담당하기도 합니다. 사실 해외 커피업계에서는 커피 관련 직업은 좀 더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바리스타는 바리스타로서 커피 추출이 주 업무이고 커퍼, 로스터 등 업무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국내에 바리스타라는 개념이 도입된 것은 1999년 스타벅스가 한국에 들어오면서이고, 커피프린스 1호점이라는 드라마의 영향으로 대중화가 되었습니다. 커피를 배우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고 국내 민간 자격증인 바리스타 2급도 쉽게 취득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커피 자격증이.. 2020. 4. 20.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