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몰트위스키18 위스키 가격이 비싼이유? 위스키로 제테크가 가능할까?(주류세) 주류세 개편 / 종가세 그리고 종량세란? 올해 이슈 중 하나는 주류세 개편이 있습니다. 종가세 vs 종량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현재 맥주의 경우 종량세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종량세의 경우 술의 양이나 알코올 도수에 따라 세금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캔맥주와 수제 맥주는 싸지고, 수제 맥주 가격은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위스키에 종량세가 적용되면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위스키의 경우 고 알코올, 고가이기 때문에 종량세가 적용될 경우 가격은 하락할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위스키는 종가세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위스키와 세금 한국에서는 위스키에는 부가가치세 외에 개별소비세가 부과됩니다. 이는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세금이 올라가기 때문에 다른 주류에 비해 세금이 높습니다. 2018년 기준 72%의 세율이 .. 2020. 4. 24. 위스키 보관 하는 법 모든 술이 그렇듯이 위스키도 위스키를 보관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이 있습니다. 규칙대로 보관하다면 오랜 시간 최상의 상태에서 위스키를 즐길 수 있습니다. 일단 위스킨는 와인처럼 보관해서는 안됩니다. 와인은 옆으로 눕혀서 최대한 외부 자극 없이 오랫동안 보관하면 아로마가 더욱 풍부해집니다. 또한 일단 와인은 마개를 연 뒤 24시간 이내에 다 마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안 그러면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가 진행되어 맛과 향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스키는 다릅니다. 위스키는 병입이 되는 순간 이미 완제품인 상태로 12년산 위스키는 구매 후 10년이 지나도 12년 산 위스키입니다. 아무리 집에 오래 두어도 맛과 향의 큰 변화는 없습니다. 위스키의 보관온도는? 위스키는 와인처럼 저장고에 별도로 보관하.. 2020. 4. 23. Whisky?Whiskey? 뭐가 맞는 표현일까? 그리고 위스키의 종류는? 위스키의 종류는 다양하며 원산지와 원료로 사용한 곡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 위스키의 종류를 세세하게 따지려고 하면 어렵고 머리가 아프기 때문에 일단은 가장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크게 3가지로 나눠서 이야기하겠습니다. Whisky가 맞을까요 Whiskey가 맞을까요? 사실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 Whiskey라고 쓰여 있는 것은 철자가 틀린 것이 아니고 스코틀랜드, 일본, 프랑스에서는 Whisky라고 쓰고 아일랜드와 미국에서는 Whiskey라고 씁니다. 그 이유는 19세기의 스카치위스키는 품질이 고르지 않았고 그중에는 매우 심각한 수준의 위스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일랜드 사람들은 자신들의 위스키를 스카치위스키와 차별화하고 싸구려 독주로 취급되지 않도록, 미국으로 수출하기 전에 Whisky에 '.. 2020. 4. 19. 이전 1 2 3 4 5 6 다음